전방십자인대파열 방치하면 관절염 증가
무릎관절내에 위치하고 있는 십자인대는 전방과 후방 두가지로 나뉘는데 이것들은 서로 교차하여
다리를 튼튼하게 잡아주고 있으며, 관절의 안정성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비교적 강력한 구조물이지만 비틀림에는 취약한 편이라 다리가 꺽이거나 무릎이 회전하는 경우등에서
전방십자인대파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다.
하지만 발생하더라도 통증이 오랫동안 지속되느 편이 아니기 때문에 타박상 정도로만 여기고 제대로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많은 운동선수들과 일반환자들이 방문하여 치료 받는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이렇게 전방십자인대파열을
방치하는 경우에는 파열이 점점 커져서 무릎의 다른 구조물에도 악영향을 끼칠수 있다고 경고한다.
관절염이나 연골손상 같은 2차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무척중요하다.
전방십자인대파열은 손상정도에 따라 비수술치료와 수술치료로 나눌수 있는데, 이학적 검사 및 MRI를
통해서 무릎의 다른 구조물에도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첫번째 과정이라고 할수 있다.
파열이 심하지 않다면 압박과 냉각, 물리치료 등으로 전방십자인대파열을 치료하는데 이는 통증부터
시작하여 염증과 부종 등을 억제하여 주는 치료 방법이다.
이후에는 하체의 근력운동을 진행하여 무릎인대의 역할을 보완해줄 수 있도록 해야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런 비수술치료로 즈앙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전방십자인대파열이 심각할 경우에는
수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수술에는 인대를 새로 재건하여 주는 재건술이 추천되고 있으며,
수술전에 환자의 상태와 연령, 직업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이
필요로 하다.
전방십자인대파열 재건술 후에는 목발보행 등으로 하체를 안정시켜주는 것이 좋다.
이후에는 재활과정을 통해 무릎관절 가동범위 및 정상근력을 회복시켜주어야 하며, 스포츠경의 복귀를
위해서는 약 6개월 가량의 재활과정이 소요된다.
많은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방십자인대파열 및 무릎환자 모임 운영자!!!